반응형
응급구조사 2023년도 시험일정, 시험과목, 합격기준, 합격률
응급구조사는 응급환자가 발생한 현장에서 환자에 대한 상담·구조 및 이송업무를 수행합니다. 현장 및 의료기관에서 또는 이송중에 응급처치의 업무를 수행하며, 지도의사의 의료지도를 통해 응급의료 약물을 환자에게 직접 사용하는 응급의료 행위를 하는 사람을 위생사라 말하는데 위생사의 2023년도 주요 시험 정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시험일정 및 지역
시험일정
구분 | 일정 | 비고 | |
응시원서
접수 |
기간 | ㆍ인터넷 접수: 2022. 8. 30.(화) ~ 9. 6.(화) 다만, 외국대학 졸업자로 응시자격 확인서류를 제출하여야 하는 자는 접수기간 내에 반드시 국시원 별관(2층 고객지원센터)에 방문하여 서류확인 후 접수가능 함 |
[응시수수료]
- 135,000원 [접수시간] ㆍ인터넷 접수: 해당 시험직종 접수 시작일 09:00부터 접수 마감일 18:00까지 |
장소 | ㆍ인터넷 접수: 국시원 홈페이지 [원서접수]메뉴 | ||
응시표 출력기간 | 시험장 공고 이후 별도일부터 출력 가능 |
- 실기: 2022. 9. 15.(목) 이후
- 필기: 2022. 10. 26.(수) 이후 |
|
시험시행
|
일시 | - 실기: [1급] 2022. 10. 10.(월) ~ 14.(금) [2급] 2022. 10. 17.(월) ~ 21.(금) - 필기:[1급] 2022. 11. 26.(토) [2급] 2022. 11. 26.(토) |
[필기시험] 응시표, 신분증, 필기구 지참
(컴퓨터용 흑색 수성사인펜은 지급함) ※ 식수(생수)는 제공하지 않습니다. [실기시험] · 성인용 포켓마스크(pocket mask), 영아용 마스크, 개인보호장구 (KF94 마스크, 라텍스 장갑) ※단, 라텍스 알러지가 있는 응시자의 경우 , 본인이 준비한 다른 소재의 장갑 착용 허용. 배근력 수행에 유리하도록 접지면이 부착된 특수장갑은 금지 |
장소 | [국시원 홈페이지]-[시험안내]-[응급구조사]-[시험장소] | ||
최종합격자 발표
|
일시 | - 실기: [1급] 2022. 11. 11.(금) [2급] 2022. 11. 11.(금) - 필기: [1급] 2022. 12. 7.(수) [2급] 2022. 12. 15.(목) |
ㆍ휴대전화번호가 기입된 경우에 한하여 SMS통보
|
장소 | ㆍ국시원 홈페이지 [합격자조회]메뉴 |
응급구조사 시험의 2023년 일정과 시험지역은 아직 공시되지 않았습니다. 참고로 2022년 일정의 경우 위와 같이 작년 7월 18일에 '2022년 하반기 및 2023년도 상반기 보건의료인국가시험 응시원수 접수 안내'를 통해 공지되었습니다.
시험지역
응급구조사 시험은 서울, 대구, 광주, 대전, 제주에서 치러집니다.
출제범위 및 시간표
시험과목
1급 응급구조사 국가시험 출제범위 안내
시험과목 | 분야 | 영역 |
1. 기초의학 | 1. 세포 및 조직 | 1. 세포, 조직의 구조 및 기능 |
2. 세포, 조직의 병태생리 | ||
2. 감염 | 1. 감염질환 | |
3. 인체의 기관계 | 1. 근골격계 | |
2. 순환계 | ||
3. 소화계 | ||
4. 호흡계 | ||
5. 비뇨생식기계 | ||
6. 신경계 | ||
7. 내분비계 | ||
8. 감각계 | ||
2. 응급환자관리 | 1. 응급환자평가 | 1. 현장평가 및 일차평가 |
2. 이차평가 | ||
2. 환자관리 및 진료보조 | 1. 건강과 임종관리 | |
2. 감염과 상처관리 | ||
3. 호흡과 체온관리 | ||
4. 활동과 안위관리 | ||
5. 수분전해질과 배설관리 | ||
6. 투약관리 | ||
7. 진료보조 | ||
3. 전문응급처치학총론 | 1. 응급의료체계의 개요 | 1. 응급의료체계 |
2. 응급구조사의 역할과 책임 | ||
3. 응급구조사의 안녕 | ||
4. 의료/법적 책임 | ||
5. 응급의료 통신 및 기록 | ||
2. 환자이송 및 구급차운용 | 1. 환자구조 및 이송 | |
2. 구급차운용 | ||
3. 대량재난 | 1. 재난관리 | |
2. 특수재난 | ||
4. 응급의료관련법령 | 1.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| 1. 총칙 및 국민의 권리와 의무 |
2. 응급의료종사자의 권리와 의무 | ||
3.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임 | ||
4. 재정 | ||
5. 응급의료기관 등 | ||
6. 응급구조사 | ||
7. 응급환자 이송 등 | ||
8. 보칙 및 벌칙 | ||
2. 의료법 | 1. 총칙 | |
2. 의료인의 권리와 의무 | ||
3. 의료행위의 제한 | ||
4. 의료기관 개설 | ||
5. 의료광고 및 감독 | ||
5. 전문응급처치학각론 | 1. 전문심장소생술 | 1. 심정지 |
2. 임박한 심정지 | ||
3. 관상동맥증후군 | ||
4. 뇌졸중 | ||
5. 특수상황 심정지 | ||
2. 전문소아소생술 | 1. 신생아소생술 | |
2. 소아소생술 | ||
3. 전문외상처치술 | 1. 손상기전과 외상진료체계 | |
2. 연조직손상 | ||
3. 화상 | ||
4. 출혈 및 쇼크 | ||
5. 근골격계 손상 | ||
6. 체강 손상 | ||
7. 두경부 척추 손상 | ||
8. 환경 응급 | ||
9. 중증 손상 | ||
4. 내과 응급 | 1. 호흡계 응급 | |
2. 심혈관계 응급 | ||
3. 내분비계 응급 | ||
4. 신경계 응급 | ||
5. 소화기계 응급 | ||
6. 비뇨생식기계 응급 | ||
7. 조혈계 응급 | ||
8. 면역 질환 | ||
9. 감염 질환 | ||
10 중독 질환 | ||
11 눈‧귀‧코‧목 질환 | ||
12 비외상성 근골격계 질환 | ||
5. 특수 응급 | 1. 소아 응급 | |
2. 산‧부인과 응급 | ||
3. 정신질환과 행동응급 | ||
4. 노인 응급 |
2급 응급구조사 국가시험 출제범위 안내
시험과목 | 분야 | 영역 |
1. 기본응급처치학총론 | 1. 응급의료체계의 개요 | 1. 응급의료체계 |
2. 응급구조사의 역할과 책임 | ||
3. 응급구조사의 안녕 | ||
4. 의료/법적 책임 | ||
5. 응급의료 통신 및 기록 | ||
2. 대량재난 | 1. 재난관리 | |
2. 특수재난 | ||
2. 기본응급환자관리 | 1. 응급환자평가 | 1. 현장평가 및 일차평가 |
2. 이차평가 | ||
2. 기본환자관리 | 1. 건강과 임종관리 | |
2. 감염과 상처관리 | ||
3. 호흡과 체온관리 | ||
4. 활동과 통증관리 | ||
3. 응급의료관련법령 | 1. 응급의료에관한법률 | 1. 총칙 및 국민의 권리와 의무 |
2. 응급의료종사자의 권리와 의무 | ||
3.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임 | ||
4. 재정 | ||
5. 응급의료기관등 | ||
6. 응급구조사 | ||
7. 응급환자 이송 등 | ||
8. 보칙 및 벌칙 | ||
2. 의료법 | 1. 총칙 | |
2. 의료인의 권리와 의무 | ||
3. 의료행위의 제한 | ||
4. 의료기관 개설 | ||
5. 의료광고 및 감독 | ||
4. 기본응급처치학각론 | 1. 기본심폐소생술 | 1. 기본심폐소생술 |
2. 기도유지 및 환기 | 1. 기도관리 및 환기 | |
3. 기본외상처치술 | 1. 손상기전 | |
2. 둔상 및 관통상 | ||
3. 출혈과 쇼크 | ||
4. 두경부 척추 손상 | ||
5. 체강손상 | ||
6. 근골격계 손상 | ||
7. 연부조직 손상 | ||
8. 화상 | ||
9. 환경응급 | ||
4. 내과 응급 | 1. 호흡 응급 | |
2. 순환기계 응급 | ||
3. 내분비와 대사응급 | ||
4. 면역 질환 | ||
5. 신경계 응급 | ||
6. 위‧장관 비뇨생식기계 응급 | ||
7. 감염 질환 | ||
8. 중독 및 약물남용 | ||
5. 특수응급 | 1. 소아 응급 | |
2. 노인 응급 | ||
3. 산부인과 응급 | ||
4. 행동 응급 | ||
5. 응급의료장비 | 1. 응급의료장비운영 | 1. 기도유지장비 |
2. 호흡보조장비 | ||
3. 순환보조장비 | ||
4. 이송 및 고정장비 | ||
5. 환자감시장비 | ||
2. 환자구조 및 이송 | 1. 환자구조 | |
2. 환자이송 |
응급구조사 국가시험 출제범위는 위와 같습니다.
시험시간표
1급 응급구조사 시험시간표
구분 | 시험과목(문제수) | 교시별 문제수 | 시험형식 | 입장시간 | 시험시간 |
기기수거 및 답안전송 확인시간
|
1교시 | 1. 기초의학(30) 2. 응급환자관리(40) 3. 전문응급처치학총론(30) 4. 응급의료관련법령(20) |
120 | 객관식 | ~08:30 | 09:00~10:45 (105분) |
10:45~10:50 (5분)
|
2교시 | 1. 전문응급처치학각론(110) | 110 | 객관식 | ~11:10 | 11:20~12:55 (95분) |
12:55~13:00 (5분)
|
2급 응급구조사 시험시간표
구분 | 시험과목(문제수) | 교시별 문제수 | 시험형식 | 입장시간 | 시험시간 |
1교시 | 1. 기본응급처치학총론(20) 2. 기본응급환자관리(20) 3. 응급의료관련법령(20) |
60 | 객관식 | ~08:30 |
09:00~09:50 (50분)
|
2교시 | 1. 기본응급처치학각론(60) 2. 응급의료장비(20) |
80 | 객관식 | ~10:10 |
10:20~11:30 (70분)
|
시험 응시 자격 및 접수
응시자격
다음 각 호의 자격이 있는 자가 응시할 수 있습니다.
1급 응급구조사
- # 대학 또는 전문대학에서 응급구조학을 전공하고 졸업한 자. 단, 졸업예정자의 경우 이듬해 2월 이전에 졸업한 자이어야 하며, 만일 동 기간 내에 졸업하지 못한 경우 합격이 취소됩니다.
- # 보건복지부장관이 인정하는 외국의 응급구조사 자격인정을 받은 자
- # 2급 응급구조사로서 실제 응급구조사 업무에 3년 이상 종사한 자1급 응급구조사
※ 단, 119 구급대, 민간이송업(시도지사의 허가를 받은 기관에 한함), 의료기관 등의 종사자에 한하여 경력을 인정함.
2급 응급구조사
- #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하는 응급구조사 양성기관에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양성과정을 이수한 자.
단, 이수예정자의 경우 2급 응급구조사 응시원서 접수 당시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 36조제3항제1호에 의한 응급구조사 양성과정을 이수 중에 있는 자에게 응시자격을 부여하되, 이듬해 2월 이전에 이수가 확인된 자이어야 하며, 만일 동 기간 내에 이수하지 못한 경우 합격이 취소됩니다. - # 보건복지부장관이 인정하는 외국의 응급구조사 자격인정을 받은 자
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자는 응시할 수 없습니다.
-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(약칭 : 정신건강복지법) 제3조제1호에 따른 정신질환자. 다만, 전문의가 응급구조사로서 적합하다고 인정하는 사람은 그러하지 아니하다.
- 마약ㆍ대마 또는 향정신성 의약품 중독자
- 피성년후견인, 피한정후견인
-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또는 형법중 제233조ㆍ제234조ㆍ제268조(의료과실에 한한다)ㆍ제269조ㆍ 제270조제1항 내지 제3항ㆍ제317조제1항, 보건범죄단속에관한특별조치법, 지역보건법, 국민건강증진법, 후천성면역결핍증예방법, 의료법, 의료기사법, 시체해부및보존에관한법률, 혈액관리법, 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, 모자보건법, 국민건강보험법에 위반하여 금고 이상의 실형의 선고를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지 아니하거나 면제되지 아니한 자
응시접수
시험 응시는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 홈페이지 https://www.kuksiwon.or.kr/ 에서 할 수 있습니다.
응시료
응시수수료는 13만5천원입니다.
합격기준 및 합격률
합격기준
합격자 결정은 전 과목 총점의 60퍼센트 이상, 매 과목 만점의 40퍼센트 이상 득점한 자를 합격자로 합니다.
응시자격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합격자 발표 이후에도 합격을 취소합니다.
합격률
1급 응급구조사 합격률
회차 | 응시자수(명) | 합격자수(명) | 합격률(%) |
2022년(제28회) | 1,736 | 1,530 | 88.1 |
2021년(제27회) | 1,731 | 1,300 | 75.1 |
2020년(제26회) | 1,785 | 1,534 | 85.9 |
2019년(제25회) | 1,717 | 1,512 | 88.1 |
2018년(제24회) | 1,759 | 1,554 | 88.1 |
2급 응급구조사 합격률
회차 | 응시자수(명) | 합격자수(명) | 합격률(%) |
2022년(제28회) | 1,148 | 966 | 84.1 |
2021년(제27회) | 931 | 706 | 75.8 |
2020년(제26회) | 994 | 875 | 88 |
2019년(제25회) | 1,379 | 1,233 | 89.4 |
2018년(제24회) | 1,473 | 1,224 | 83.1 |
최근 5년간 응급구조사 국가시험 합격률 추이는 위와 같습니다.
반응형
'자격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간호조무사 2023년도 상반기 시험장소 (0) | 2023.02.20 |
---|---|
전액무료 AI 서비스 개발자 취업캠프 멀티캠퍼스에서 3월1일 접수마감 (0) | 2023.02.19 |
위생사 2023년도 시험일정, 출제범위, 합격기준, 합격률 (0) | 2023.02.19 |
영양사 2023년도 시험일정, 출제범위, 합격기준, 합격률 (0) | 2023.02.19 |
변리사 2023년도 시험일정, 시험과목, 합격기준, 합격률 (0) | 2023.02.16 |